5.18, 우리들의 이야기

5.18, 우리들의 이야기 pdf epub mobi txt 電子書 下載2025

出版者:심미안
作者:광주서석고등학교 제5회 동창회
出品人:
頁數:456
译者:
出版時間:2019-5-1
價格:25,000원
裝幀:平裝
isbn號碼:9788963812854
叢書系列:
圖書標籤:
  • 韓文
  • 光州事件
  • 5
  • 18
  • 韓國傢庭
  • 迴憶
  • 曆史
  • 韓國
  • 社會
  • 情感
  • 故事
  • 真實
  • 經曆
想要找書就要到 小美書屋
立刻按 ctrl+D收藏本頁
你會得到大驚喜!!

具體描述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서석고등학교 3학년들의 체험담을 기록한 것이다. 계엄군의 총칼에 맞서 시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은 물론, 그렇지 않았더라도 신군부의 정권장악 시나리오에 따라 자행된 ‘광주살육작전’ 때 이들이 어떻게 지내야 했는지, 어떻게 그 삶이 굴절되어야 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 준다.

전남도청 앞 금남로에서 공수부대가 집단 발포를 할 때 총상을 입은 사람, 시위대원으로 위장한 계엄군 ‘편의대’에 의해 고문을 받고 영창에 갇힌 사람, 전남도청을 지키다가 5월 27일 새벽 계엄군이 진압할 때 가까스로 탈출한 사람, 가두방송으로 유명한 전옥주 씨의 가족이 자취방 옆집에 살아 누나가 간첩혐의로 끌려가 조사를 받은 사람, 공수부대원에게 붙잡혀 전남대와 광주교도소에서 46일간 고초를 당한 사람, 시골집으로 가기 위해 계엄군의 감시망을 뚫고 산길을 타거나 걷다가 우여곡절을 겪은 사람, 친구인 임산부 최미애 씨가 계엄군의 총탄에 죽은 것을 알고는 나라에서 준 ‘국난극복기장’을 쓰레기통에 던져 버린 누나, 고문을 당하면서도 함께 시위에 참여한 ‘나’를 끝내 말하지 않은 친구의 안타까운 죽음 등등.

著者簡介

이 책은 광주서석고 제5회 동창회(회장 임영상)에서 1980년 5월 당시 고등학교 3학년이었던 동기들의 5·18민주화운동 체험담을 기록한 것이다. 모두 12명으로 구성된 ‘5·18체험담출판준비위원회’는 한 사람이 각 30여 명의 동기들을 대상으로 2년여 동안 체험담을 수집, 정리했다. 위원은 아래와 같다.

- 고재철 광주 전남공업고등학교 교사

- 박남진 자영업, 전 건강보험공단 근무

- 방창석 조은날 한정식 대표

- 이병원 삼진이앤씨 대표이사

- 임영상 광주 서석고등학교 5회 동창회 회장, ㈜휴먼라이텍 회장

- 장 식 광주 첨단중학교 교사

- 정강철 광주 광덕고등학교 교사, 소설가

- 정인식 광주서석고등학교 5회 동창회 사무총장, 전 농협 호남물류센터 센터장

- 조선호 사단법인 광주전남6월항쟁 운영위원장

- 최인근 자영업, 육군중령 예편

- 한광희 광주 수림숯불갈비 대표

- 함상혁 케이플러스손해사정(주) 이사, 신체손해사정사

圖書目錄

추천사
오월에서 민주주의, 사람생명과 평화, 하나됨의 시민공동체 : 대동세상으로!•04
책을 펴내며
둔필승총(鈍筆勝聰)의 자세로 ‘5·18’의 역사에 이 기록을 바친다•08
제1부 악몽으로 되살아나는 오월
고재철 역사의 현장이 된 자취방•18
권영택 악몽으로 되살아나는 오월•24
기춘우 살아 있다는 부끄러움•37
기형훈 모두가 하나 된 대동세상•42
김기배(영선) 보고 싶다, 친구야!•47
김덕현 피난처와 피난살이•53
김명광 마음의 빚을 갚으면서•57
김범주 잊지 못할 그날들•61
김병주 오월, 그날이 오면•66
김선재 축 늘어진 머리의 무게•78
김수종 군인이 왜 시민에게 총을 쏘았을까•84
김연천 계엄군의 만행을 알리기 위해•88
김옥철 기억의 뿌리•92
김창호 아물지 못한 오월의 기억•96
김홍렬 광주MBC로 진격•101
리일천 동지가 된 선생님•104
박남진 세월이 흐르고 흘러도•110
박재곤 마음속 깊은 울림•114
방창석 저 멀리 총탄 불빛이•119
제2부 상무대 영창에 갇혀
백종복 지옥 같았던 하루•126
변길석 세월이 약이라 했지만•131
서구원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134
서재창 저 멀리서 들려오는 총소리•136
설동엽 선생님 결혼식 날의 아비규환•139
손도식 나의 5·18은 초라하지만•146
손영배 쓰레기장에 버린 ‘국난극복기장’•150
손하진 계엄군이 끊어버린 내 ‘밥줄’•156
송재천 부끄럽고 안타까운 기억•160
신재현 경찰의 가택수색•164
양선태 잃어버린 기억의 소환•167
양회철 세상을 보는 나의 눈•171
오일교 상무대 영창에 갇혀•176
왕철호 우리 집은 전남도청 뒤 여인숙•190
윤순철 마음에 상처로 남아 있는•195
윤인호 장갑차 위의 그 사람•201
이기원 앞서서 나가니 산자여 따르라!•207
이석우 쓸모가 없던 카빈 소총•211
이순영 목숨을 건 여수행 대장정•215
이승진 소총과 실탄의 행방•223
이은준 부끄러운 봄날•227
이종언 아이러니한 세상•233
이판희 ‘가택 연금’ 된 오월•237
이현주 철없는 고3 시절에•241
임오중 장흥 유치에서 걸어오신 어머니•244
제3부 내 몸에 박혀 있는 계엄군의 총탄
장식 일기장에 기록된 나의 오월•250
장종택 믿기지 않던 집단발포의 현장•259
전형문 내 몸에 박혀 있는 계엄군의 총탄•264
정강철 어두운 기억의 저편•276
정인식 그때 그 여고생은 잘 살고 있는지•286
조선호 오월 그날의 장면들•290
최대식 9일간의 병원 신세•300
최윤곤 그날 그곳을 생각하며•303
최인근 지금은 말할 수 있다•308
최종귀 두 아들을 지키셨던 아버지•315
한광희 잊을 수 없는 장면•320
함상혁 정의로운 이름은 차고 넘친다•327
홍성호 그리운 박용준 선배•333
황규완 ‘돌산 촌놈’의 광주 탈출 작전•337
제4부 부끄러운 탈출 임영상·이준수·최재남
문 닫은 학교, 거리로 나간 우리•344 차량시위대에 합류하다•350 계엄군을 붙잡다•352 ‘광주’를 싣고 달리는 남행버스•360 반가운 친구 이준수•367 다리 아래로 추락한 트럭•370 계엄군이 가로막은 광주행•375 영광 거쳐 무안 거쳐 목포로•378 일로읍 간첩소동•381 목포역 광장에 타오른 불꽃•383 군부대에 끌려가다•386 내 이름은 한영상•391 억류된 하루는 몇 년보다 길었다•395 광주로 향하는 먼 길의 시작•398 통통배로 영산강을 건너다•401 호랑이 굴에서 잠들어•403 사람들을 가득 태운 경운기•405 아! 광주여•407 민주수호 범시민 궐기대회•411 시민군이 되다•415 비상! 계엄군이 오고 있다•420 도청 초소에서 총구를 겨누고•423 부끄러운 탈출•430 살아 있었구나 친구야!•438
부록5·18민주화운동 시간대별 일지•448
· · · · · · (收起)

讀後感

評分

評分

評分

評分

評分

用戶評價

评分

评分

评分

评分

评分

本站所有內容均為互聯網搜索引擎提供的公開搜索信息,本站不存儲任何數據與內容,任何內容與數據均與本站無關,如有需要請聯繫相關搜索引擎包括但不限於百度google,bing,sogou

© 2025 book.quotespace.org All Rights Reserved. 小美書屋 版权所有